능소화의 전설

능소화의 전설

(지웠던 기사인데 독자님들의  요청으로 다시 올립니다)


옛날에는 양반집에만 심는 귀한 꽃

요즈음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꽃

임금님 눈에 들어 하룻밤을 보낸 후

후궁들의 시기로 다시는 찾아오지 않는 임금을

기다림으로 평생을 살았다는…..

궁녀를 묻는 자리에서 피어난 이 꽃

귀를 귀짝 열어 님이 오는 소리를 들으려는 듯

나팔처럼 활짝 피었다가 .지는 슬픈 전설의 꽃

구중 궁궐의 꽃 능소화의 슬픈 전설

능소화’ 이 꽃을 구중궁궐의 꽃이라

칭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옛날옛날 복숭아 빛 같은 빰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답니다.

임긍의 눈에 띄어 하룻밤사이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으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빈의 처소에 한번도 찾아오지를 않았다고 합니다.

빈이 여우같은 심성을 갖었다면 온갖 방법을 다하여

임금을 불러들였건만 순박한 그녀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빈의 자리에 오른 여인네가 한 들이 아니었기에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떠밀리고 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에서 기거하게 되었는데

빈은 또 다른 빈들의 음모를 모르는 채

마냥 임금이 찾아 오기만을 기다렸습니다.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에 가까이 왔는데

돌아가지는 않았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며 기다리고

발자국 소리도 나지 않을까 담장을 너머 너머 쳐다보며

수백 번 초승달 만월이 되고 안타까이 삶의 인연의 세월

기다림 속에 또 그렇게 흘러 그러다 어는 무더운 여름날

기다림에 지친 불행한 여인은 상사병이 열병으로 뜬 열로

그만 세상을 하직하였습니다.

권세를 누렸던 빈이었다면 초상도 당당히 거창했겠지만

잊혀진 구중궁궐의 한 여인은 초상조차 치루지않은 채

담장 한쪽가에 묻혀서

내일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 

그녀의 유언을 시녀들은 시행했습니다.

무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온갖 꽃을 찾아 모여드는데

빈의 처소 담장에는 조금이라도 더 멀리

밖을 보려고 높게 발자국 소리를 들으려 꽃잎을 더 넓게

곱다한 꽃이 피었으니 그것이 능소화입니다.

덩굴로 크는 아름다운 꽃 능소화는 세월이 흐를수록

더 많이 담장을 휘어 감고 밖으로 얼굴을 내어미는데

꽃잎의 모습이 정말로 귀를 활짝 열어 놓은 듯합니다.

한이 많은 탓일까요?

아니면 한 명의 지아비 외에는 만지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였을까?

꽃 모습에 반해 꽃을 따다 가지고 놀면 꽃의 충이 눈에 들어가

실명을 한다니 조심해야 합니다.

장미는 그 가시가 있어 더욱 아름다움을 뽐내듯이

능소화는 독이 있어 더 만지고 싶은 유혹이 있습니다.

편집인(편집부2000hansol@hanmail.net)

Recent Articles

spot_img

Related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