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공자(BC 479~552) : 공자는 중국 노나라 사람이고, 석가모니(BC 563경~BC483경): 석가모니는 고대 인도 지금의 네팔 사람이며 예수(BC4경~AD30) : 예수는 그리스도교의 창시자입니다.

소크라테스(BC 470~BC 399)는 서양철학의 원조라 할 수 있습니다.

“공자”가 냉정하게 빛나는 객관적인 빛이라면,”석가”는 마력적인 추상의 빛이며, “예수”는 마법처럼 전용된 진리의 빛이고, “소크라테스”는 실재적인 빛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공자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삶을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였고, 석가모니는 명상을 통한 깨달음의 길을 제시했으며, 예수는 이 세상에 집착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에 순복하라고 가르쳤지만, 소크라테스는 사고를 통해 진리를 깨닫게 했습니다.

세상의 악에 대응하는 방법도 네 성인이 비슷하지만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공자는 선을 선으로 갚고 악은 정의로 갚으라고 권면(勸勉)하는데, 석가모니는 어떤 악에도 저항하지 않는 보편적 사랑, 모든 생명체에 대한 자비심을 역설하고 있지요. 예수는 잘 알려졌듯 원수를 사랑하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악을 갚기 위해 불의가 재발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고 있지요.

네 명의 성인 모두 스스로 쓴 책을 남기지 않았다는 것도 공통점 중의 하나입니다. 이는 훗날 제자들에 의해 이들 성인의 삶과 가르침이 보강되면서 철학적 깊이가 더욱 빛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위의 4대 성인들의 가르침을 삶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지표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성인들처럼 하늘의 뜻을 깨달아 중생을 일깨우고 옳은 길을 가도록 지도하기는 어려울지라도 성인들의 사상을 삶의 나침반으로 삼는 지혜를 지녀야 하겠습니다. 그래서 “위대함은 훌륭함을 뛰어넘는다!” 했습니다.

그런데 소크라테스하면 두 명언이 생각납니다.

하나는 “악법도 법이다.”입니다. 자신에게 반역을 선동했다하여 사형을 선고한데 대하여 도망갈 수도 있었지만 ‘악법도 법이다’ 하면서 독배를 마시고 죽었습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명언은 “너 자신을 알라”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서양철학의 원조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제자를 잘 두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스스로 글을 쓴 것이 없습니다. 다만 그의 말을 제자들이 모아 기록했습니다.

공자의 말을 제자들이 옮겨 적은 것이 ‘논어’이듯이 소크라테스도 그의 제자들이 그의 말을 옮겨 기록하였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제자 중 대표적인 사람이 ‘플라톤’입니다. 또 플라톤의 유명한 제자가 ‘아리스토텔레스’이고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유명한 알렉산더 대왕의 개인 교사였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머리가 좋고 덕성이 높고 가장 용감한 4사람이 바로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알렉산더 대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알렉산더 대왕이 30대 초반부터 죽을 때까지 10여년 동안 그 당시의 문명 세계를 정복하여 대제국을 만들었습니다.

그가 죽고나서 4나라로 나눠지고 헬레니즘(Hellenism) 시대가 열립니다. 그리스 문명이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에 걸쳐서 퍼져 나가 황금기를 만드는데 이때 만들어진 조각품들이 세계 최고의 걸작품입니다. 인류가 만든 최고의 건축물, 조각품, 미술품 등이 바로 알렉산더 대왕 헬레니즘 시대에 제작되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모든 문제를 평생 동안 토론을 통해 풀었습니다. 욕심 없이 진리만 쫓으며 열성과 지혜를 쏟은 그의 삶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아테네 시민들은 그를 ‘참 지혜와 진리로 이끌어주는 스승’이라고 칭송했습니다.

당시 고대 그리스에서는 델포이의 신전에서 신의 뜻을 물어 응답을 받는 신탁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델포이 신탁이 “이 세상에서 소크라테스보다 더 현명한 사람은 없다.”라고 응답했다고 전해집니다. 소크라테스는 가난과 세속적 평가에 전혀 구애받지 않았고 세번 보병으로 참전한 전쟁에서 아군의 세가 불리해 후퇴할 때에도 동료들을 먼저 추스리고 가장 늦게 후퇴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매우 인간적이고 담대했던 인물이었다고 합니다.

소크라테스가 어떤 사람인지는 그의 재판과 죽음의 광경에서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그는 군중에게 영합하지 않았으며 ‘악법도 법이다!’라며 스스로 독배를 마심으로서 지행일치(知行一致)라는 자신의 신념을 지켰습니다.

세계적으로 독한 마누라 1등에 빛나는 그의 아내 “크산티베”의 구박 속에서도 항상 웃고 사셨던 테스 형!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스형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습니다.

“반드시 결혼해라!

좋은 아내를 얻으면 행복할 것이다. 그러나 악처를 얻으면 나처럼 철학자가 될 것이다.” 저도 그래서 악동이 악처를 만나서 철학적 사상이 조금이나마 있나 봅니다… 철학도 개똥 철학! ㅋㅋㅋ

편집인(편집부2000hansol@hanmail.net)

 

Recent Articles

spot_img

Related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