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창시(17)  별들은 따뜻했다(1990) 정호승

애창시(17)

 

별들은 따뜻하다<1990>    정호승<1950 ~ >

 

하늘에는 눈이 있다

두려워할 것은 없다

캄캄한 겨울

눈 내린 보리밭길을 걸어가다가

새벽이 지나지 않고 밤이 올 때

내 가난의 하늘 위로 떠오른

별들은 따뜻하다

나에게

진리의 때는 이미 늦었으나

내가 용서라고 부르던 것들은

모든 거짓이었으나

북풍이 지나간 새벽거리를 걸으며

새벽이 지나지 않고 또 밤이 올 때

내 죽음의 하늘 위로 떠오른

별들은 따뜻하다

 

시인 정호성 사진 (hamu.wiki에서 발췌)

 

(시인 정호성)

정호승은 정제된 서정으로 비극적 현실 세계에 대한 자각 및 사랑과 외로움을 노래하는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19050년 1월 3일 경남 하동 출생, 경희대 국문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73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첨성대’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으로 어두운 시대를 사는 슬픔과 의지를 노래

한 ‘슬픔이 기븜에게'(1979), 민중의 고통스러운 삶에 대한 슬픔과 그 속에서 희망을 담은 ‘서울의 예수1’

(1982). 상처와 아픔 그리고 그 다스림의 내면적 고투를 드러낸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1997). 고독한 인간의 숙명과 완전한 사랑에 대한 갈망을 보여주는 『외로우니까 사람이다』(1998), 약하고 고통 받는 이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보내는 『이 짧은 시간 동안』(2004), 삶과 죽음에 관한 통찰을 담은 『포옹』(2007) 등을 간행하였다.

정호승은 정제된 서정으로 비극적 현실 세계에 대한 자각 및 사랑과 외로움을 노래하는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소설집으로 ‘나’의 존재의미와 가치 및 진실한 사랑에 대해 탐구한 『연인』(1998), 『항아리』(1999) 등이 있다.

 

[해설]

정호승(58) 시인만큼 노래가 된 시편들을 많이 가진 시인도 드물다. 안치환이 부른 ‘우리가 어느 별에서’를 비롯해 28편 이상이다. 그의 시편들이 민중 혹은 대중의 감성을 일깨우는 따뜻한 서정으로 충만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뜻한 슬픔’으로 세상을 ‘포옹’하는 그의 시편들을 읽노라면 좋은 서정시 한 편이 우리를 얼마나 맑게 정화시키고 깊게 위로할 수 있는지를 새삼 깨닫곤 한다.

그는 별의 시인이다. 그것도 새벽 별의 시인이다. 별이란 단어를 그보다 더 많이 쓴 시인이 또 있을까. 그가 바라보는 별에는 피가 묻어 있기도 하고 새들이 날기도 한다. 그의 별은 강물 위에 몸을 던지기도 하고, 그 또한 별에 죽음의 편지를 쓰기도 한다. 어쨌든 그런 별들도 어둠 없이는 바라볼 수 없으며, 밤을 통과하지 않고는 새벽 별을 맞이할 수 없다.

이 시는 ‘하늘에는 눈이 있다’라는 단언으로 시작한다. 눈은 ‘보리밭길’을 덮는 눈(雪)이기도 하고 ‘진리의 때’를 지키는 눈(眼)이기도 할 것이다. 눈 내린 보리밭길에 밤이 왔으니 ‘캄캄한 겨울’이겠다. 겨울의 캄캄하고 배고픈 밤은 길기도 길겠다. ‘가난의 하늘’이니 더욱 그러하겠다. 진리의 때가 늦고 용서가 거짓이 될 때, 북풍이 새벽거리에 몰아치고 새벽이 다시 밤으로 이어질 때 그 하늘은 ‘죽음의 하늘’이겠다. 그런데 그런 하늘 위로 떠오른 별들은 얼마나 아름다울 것인가. 얼마나 따뜻할 것인가.

우리 생의 팔할은 두려움과 가난과 거짓으로 점철된 어둠의 시간이다. 눈물과 탄식과 비명이 떨어진 자리에 피어나는 꽃, 그것이 바로 별이 아닐까. ‘슬픔을 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의/ 새벽은 언제나 별들로 가득한(‘슬픔을 위하여’)’ 법이다. 어두운 현실에서 희망을 놓지 않으려는 시인의 의지가 ‘별’을 바라보게 하는 것이리라. 그래서인지 그의 시는 가장 낮은 곳에서 밝다.

눈 내리는 보리밭길에 흰 첫 별이 뜰 때부터 북풍이 지나간 새벽 거리에 푸른 마지막 별이 질 때까지 총총한 저 별들에 길을 물으며 캄캄한 겨울을 통과하리라. 그 별들의 반짝임과 온기야말로 우리를 신(神)에 혹은 시(詩)에 가까이 가게 만드는 것이리라.

 

<작품목록>

● 슬픔이 기쁨에게
● 수직적인 삶의 시와 수평적인 삶의 시
● 나그네의 마을에 가서­[특집] 목월 시인론
● 서울의 예수
● 새벽 편지
● 별들은 따뜻하다
● 내가 켠 촛불
● 임진강
● 서울에는 바다가 없다
● 첫눈 오는 날 만나자
●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
● 연인
● 당신의 마음에 창을 달아 드립니다
●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돈으로 시인되면 뭘하니
● 항아리
● 눈물이 나면 기차를 타라
● 모닥불
● 그리운 부석사
● 맹인부부 가수

(참고문헌)

– 정호승[鄭浩承]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 일간『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100/17』(조선일보 연재, 2008)

– (『별들은 따뜻하다』. 창작과비평사. 1990)

– 최동호 신범순 정과리 이광호 엮음『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지성사, 2007)

 

(편집부) 2000hansol@hanmail.net

Recent Articles

spot_img

Related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