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창시(44) 너와집 한 채 (1992), 김명인(1954 ~ ) 

애창시(44)

 

너와집 한 채(1992)        김명인(1954 ~ )

길이 있다면어디 두천쯤에나 가서
강원남도 울진군 북면의
버려진 너와집이나 얻어 들겠네거기서
한 마장 다시 화전에 그슬린 말재를 넘어
눈 아래 골짜기에 들었다가 길을 잃겠네
저 비탈바다 온통 단풍 불 붙을 때
너와집 썩은 나무껍질에도 배어든 연기가 매워서
집이 없는 사람 거기서도 눈물 잣겠네

쪽문을 열면 더욱 쓸쓸해질 개옻 그늘과
문득 죽음과들풀처럼 버팅길 남은 가을과
길이 있다면시간 비껴
길 찾아가는 사람들 아무도 기억 못하는 두천
그런 산길에 접어들어
함께 불 붙은 몸으로 저 골짜기 가득
구름 연기 첩첩 채워넣고서

사무친 세간의 슬픔저버리지 못한
세월마저 허물어버린 뒤
주저앉을 듯 겨우겨우 서 있는 저기 너와집,
토방 밖에는 황토흙빛 강아지 한 마리 키우겠네
부뚜막에 쪼그려 수제비 뜨는 나 어린 처녀의
외간 남자가 되어
아주 잊었던 연모 머리 위의 별처럼 띄워놓고

그 물색으로 마음은 비포장도로처럼 덜컹거리겠네
강원남도 울진군 북면
매봉산 넘어 원당 지나서 두천
따라오는 등뒤의 오솔길도 아주 지우겠네
마침내 돌아서지 않겠네

시인 김명인 사진 (google image에서 발췌)

 

(작가 김명인)

1946년 9월 2일 경북 울진 출생후포고고려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1985년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현재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미국 브리검영대 객원교수러시아 극동주립대 동방학부 객원교수 등을 역임했다. 197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출항제」가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했다. 1992년 김달진문학상과 소월시문학상을 수상했다시집으로 『동두천』(1979), 『머나먼 곳 스와니』(1988), 『푸른 강아지와 놀다』(1994), 『길의 침묵』(1999), 『바다의 아코디언』(2002), 『파문』(2005), 『꽃차례』(2009) 등이 있으며평론집 『문학이란 무엇인가』(1992)를 발간하기도 했다이종욱‧김명수 등과 함께 『반시』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수상내역)

1973년 작품명 출항제‘ –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출항제」가 당선

1992년 김달진문학상

1992년 소월시문학상

(작품목록)

동두천

머나먼 곳 스와니

한국 근대시의 구조연구

물 건너는 사람

푸른 강아지와 놀다

바닷가의 장례

잠들지 못하는 희망

시어의 풍경 한국현대시사론

베트남 1

 

(해설) 

흔하게도 인생은 여행에 비유된다. 우리는 흘러가면서 만난다. 사람과 붐비는 시장과 웃음과 꽃밭과 폭풍의 바다와 벼랑과 사막을 만난다. 그러므로 삶에는 여독이 있다. 이 시를 읽으며 나는 내 여행의 종착지를 생각한다.이 시는 우리의 마음을 적적한 곳으로 데려간다. 세상에서 가장 깊은 골짜기로 가서 살자고 한다. 종일을 살아도 찾아오는 사람이 없을, 개옻 그늘과 늦가을만이 살고 있는 곳. 세상의 쓸쓸함을 다 살아본 듯 벌써 무욕을 알고, 골짜기보다 더 깊은 눈으로 속리(俗離)한 우리를 맞아줄 여인이 살고 있는 곳. 그러나 그런 곳이 있을까. 잇속이나 명리나 부귀 같은 것은 손을 털 듯 탁, 탁 털어버린 곳. 더 움켜쥐려는 근욕(根欲)이 사라져 알몸의 자아를 비로소 만날 수 있는 곳. 퇴폐도 맑게 씻기어서 별처럼 빛나는 곳. 삶을 탕진한 사람도 다 받아줄 것 같은 마지막 성지(聖地). 그곳서 우리의 여행이 끝난다면 후회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일간『한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 중 44(조선일보 연재, 2008)
[조용호의 길 위에서 읽는 시. 25/17]
시집『물 건너는 사람』(세계사, 1992)

(편집부) 2000hansol@hanmail.net

Recent Articles

spot_img

Related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