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창시(57) 달은 추억의 반죽 덩어리(1994) 송찬호(1959~ )

애창시(57)

 

달은 추억의 반죽 덩어리(1994)              송찬호(1959~  )

누가 저기다 밥을 쏟아 놓았을까 모락모락 밥집 위로 뜨는 희망처럼
늦은 저녁 밥상에 한 그릇씩 달을 띄우고 둘러앉을 때
달을 깨뜨리고 달 속에서 떠오르는 노오란 달
달은 바라만 보아도 부풀어오르는 추억의 반죽 덩어리
우리가 이 지상까지 흘러오기 위하여 얼마나 많은 빛을 잃은 것이냐
먹고 버린 달 껍질이 조각조각 모여 달의 원형으로 회복되기까지
어기여차밤을 굴려가는 달빛처럼 빛나는 단단한 근육 덩어리
달은 꽁꽁 뭉친 주먹밥이다밥집 위에 뜬 희망처럼꺼지지 않는

 

  (시인 송찬호 사진)
(시인 송찬호 사진)(google image에서 발췌)

 

(송찬호 시인)

1959년 8월 5일 충북 보은 출생경북대 독문과를 졸업했다축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1987년 『우리시대의문학』에 「변비」「금호강」 등을 발표하며 등단했다.

송찬호의 시 세계는 존재론적 성향과 미학주의라는 충동을 통해 시적 긴장감을 창출하고 있다출구가 없는 닫힌 공간의 사각형 이미지를 통해 원초적 고통인 죽음을 탐구한 『흙은 사각형의 기억을 갖고 있다』(1989), 언어의 순수성 회복 및 언어와 세계의 확장을 그려 보인 『10년 동안의 빈 의자』(1994), 지상의 모든 존재들에게 운동성을 부여한 특유의 식물성의 상상력이 나타난 『붉은 눈동백』(2000), 문명의 위력에 비판적인 자세를 견지하는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2009) 등의 시집을 간행한 바 있다그의 시는 상투적인 세계인식을 전복시키는 언어체계의 의도적 굴절이 특징적이다.

(학력사항)
경북대학교 – 독어독문학 학사

 (작품목록)
흙은 사각형의 기억을 갖고 있다
-10년 동안의 빈 의사
붉은 눈동백

 

 (해설)

동치미 무를 먹으며 아삭아삭 달을 베어먹는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팥죽에 뜬 새알을 떠먹으며 어두운 밤하늘을 들락날락하는 달을 떠먹는다고 생각한 적도 있다달걀과 밀가루가 들어간 둥근 지짐이와 부침들을 먹을 때마다 달()을 지져먹고 달()을 부쳐 먹는다고 생각하기도 했다모든 알들은 달을하얗고 부드러운 가루들은 달빛을 닮았다그리고 흰 고봉밥이노란 달걀 프라이가토실한 감자가탐스럽고 둥근 빵이 죄다 달을 닮아 있지 않은가그뿐 아니다밥상에 뜬 온갖 달들을 만들어내는 엄마와 아내와 누이와 딸이 모두 달의 여인들이니우리는 밥상에 뜬 달을 먹고 자라는그 달을 만드는 이 달에 의해 키워지는달의 후예들이다그러니 밥이 달이고밥의 집이 달의 집이다.

 

조각조각‘ 달집 아래를 걸을 때, ‘모락모락‘ 밥집 곁을 지나칠 때 그 집들이 우리를 먹여 살리는 부푸는 추억이자 꺼지지 않은 희망임을 깨닫는다저녁 밥상 앞에 둥그렇게 앉아 한 그릇씩의 달을 비우며 서로를 마주볼 때 꼭꼭 뭉친 주먹밥처럼 비로소 한 식구(食口)임을 확인한다그런 달빛은 무엇이든 구부려 만든다. “꽃의 향기를 구부려 꿀을 만들고잎을 구부려 지붕을 만들고물을 구부려 물방울 보석을 만들고(이 세계를 둥글게 완성시켜 놓“(‘달빛은 무엇이든 구부려 만든다‘)는다달은 어머니처럼 둥글고이 둥근 것들을 우리는 끊을 수 없다밤의 어둠을 굴리는 달()이 이울며 차며 달의 원형을 회복하듯우리도 그렇게 추억과 희망을 완성할 것이다그것들로 배가 둥그렇게 부르리라또 다른 달을 낳기도 하리라그것이 달의 역사(歷史)이고 달의 미래일 것이다.

 

80년대가 끝나갈 무렵에 출간된 송찬호(49)의 첫 시집 흙은 사각형의 기억을 갖고 있다가 불러일으켰던 반향은 컸다그는 마치 연금술사와도 같이시대와 가족과 인간과 사물과 언어를 비극적이면서 비의적(秘儀的)으로 결합시키곤 한다. “나는 시를 무겁게 시작한다그리고 오래 매만진다는 시작 태도는 시의 이미지를 돌올하게 하고 형이상학적인 깊이를 거느리게 한다소를 치던 어린 시절 아이 지게를 갖는 게 꿈이었다는고춧가루 몇 되를 들고 가출해 소설을 쓰기도 했다는군대와 대학 생활을 제외하고는 고향 보은을 떠나본 적이 없고 앞으로도 떠나지 않을 거라는 그는 자신에게는 시 쓰는 일이 전부일 뿐이라고 일갈하는 몇 안 되는 시인이다이런 시인이라야 모름지기 전업시인일 것이다.

 

(출처)
일간『한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57(조선일보 연재, 2008)
– [네이버 지식백과송찬호 [宋燦鎬]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글쓴이 : 편집부(hansolnon@naver.com)

Recent Articles

spot_img

Related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