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창시(79) 투명한 속(1980) 이하석 (1948 ~)

애창시(79)

 

투명한 속(1980)                               이하석 (1948 ~ )

유리 부스러기 속으로 찬란한선명하고 쓸쓸한
고요한 남빛 그림자 어려온다먼지와 녹물로
얼룩진 땅쇠 조각들 숨은 채 더러는 이리저리 굴러다닐 때,
버려진 아무 것도 더 이상 캥기지 않을 때,
유리 부스러기 흙 속에 깃들어 더욱 투명해지고
더 많은 것들 제 속에 품어 비출 때,
찬란한선명하고 쓸쓸한고요한 남빛 그림자는
확실히 비쳐 온다.

껌종이와 신문지와 비닐의 골짜기,
연탄재 헤치고 봄은 솟아 더욱 확실하게 피어나
제비꽃은 유리 속이든 하늘 속이든 바위 속이든
비쳐 들어간다비로소 쇠 조각들까지
스스로의 속을 더욱 깊숙이 흙 속으로 열며.

이하석
시인 이하석 사진 (google image에서 발췌)

 

 

(시인 이하석)

경북 고령 출생경북대 사회학과를 졸업했다『영남일보』 생활여성부장이며 민예총대구지부장이다.

1971년 『현대시학』에 「관계」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1990년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다금속성 이미지와 대지적 공간의 결합을 통해 약소 민족의 슬픔과 극복 의지를 노래한 『투명한 속』(1980), 소외되고 사물화된 인간의 모습을 묘사한 『김씨의 옆얼굴』(1984), 도시의 삭막함과 자연 사이의 통로를 찾으려는 『금요일엔 먼 데를 본다』(1996) 등의 시집과 야생화를 매개로 하여 우리가 외면해온 고난의 역사를 되돌아보게 하는 소설집 『꽃의 이름을 묻다』(1998)를 간행한 바 있다.

이하석은 현대문명의 반 인간성을 독창적인 광물학적 상상력으로 표현한 시인으로 평가된다이외에도 시집으로 『녹』(2001), 『고령을 그리다』(2002), 『것들』(2006) 등을 발간하였다.

(학력사항)
경북대학교 – 사회학 학사

(경력사항)
영남일보 생활여성부장
민예총대구지부장

(수상내역)
1990년 김수영문학상

(작품목록)
백자도
투명한 속
등불 주위를 떠도는 어둠양치상 시집 저녁 점묘
도시적 삶과 자연의 이중구조안진환 시집 바람의 행방에 부쳐
김씨의 옆얼굴
3리얼리즘의 시학일상성의 구체적 수용과 자각
유리 속의 폭풍
현실을 말하는 세 가지 어투
어머니의 달빛-‘세상 모든 길은 집으로 간다’ 문인수 저
존재에의 길
언어또는 침묵의 그림자에의 물음
금요일엔 먼 데를 본다
고추잠자리
꽃의 이름을 묻다
못 2
부서진 활주로
야적 6

 

이하석

 

(해설)

투명한 것은 비친다통과하며 통과시킨다더 많은 것들을 제 속에 품어 비춘다‘. 투명한 속은 제 속을 훤히 드러내며 더 많은 것들을 제 몸에 비추어낸다그리고 더 많은 것들은 투명한 속을 깊숙이 열며 비쳐 들어간다‘. 시간의 흔적과 문명의 찌꺼기를 받아들이고 뱉어내는 유리 부스러기의 투명한 속은 보호구역이다그 투명한 속은 끝이 없다투명한 유리 속 제비꽃처럼그 찬란하고 선명하고 쓸쓸하고 고요한 남빛 그림자처럼.

시인의 〈투명한 속〉을 읽다보면 영화 《밀양(密陽)》의 햇살이 시궁창을 비추는‘ 마지막 장면이 떠오른다마당 한구석의 흙탕물을 비추는 그 비밀스런 햇볕 혹은 숨어있는 햇살에 카메라 시선은 오래 머물러 있었다이하석 시인의 시선이 그렇다그는 도시문명 속에서 구석지고 버려지고 망가지고 폐허화된 것들의 뒷풍경을클로즈업된 카메라 시선으로 보여준다인간을 편리하고 안락하게 해주는 현대문명의 뒷면에는 산업쓰레기와 비인간적 삶이 있다그는 1970년대 후반 그가 살고 있던 대구 주변에 널린 산업쓰레기 현장을 흑백사진을 찍어 그 사진을 바탕으로 시 작업을 했다고 한다사진처럼 감정 개입은 배제한 채쓰레기 가득한 이러한 낯선 시선은 냉혹한 사실주의‘ ‘극사실주의로 평가되었으며 1980년대 우리 시단에 잔잔한 반향을 일으켰다.

쇳조각폐타이어유리병깡통껌종이신문지비닐 등 산업화의 노폐물들은 흙과 풀뿌리에 뒤엉켜 덮여 있다. “폐차장 뒷길석양은 내던져진 유리 조각속에서 부서지고풀들은 유리를 통해 살기를 느낀다./ 밤이 오고 공기 중에 떠도는 물방울들차가운 쇠 표면에 엉겨 반짝인다,/ 어둠 속으로 투명한 속을 열어 놓으며“(〈뒷쪽 풍경 1)에서처럼그것들은 쉽사리 흙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풀과 더불어 성장하지 못한다그러나그것들오랜 시간 후 흙과 풀뿌리에 깃들어 투명해지고 흙과 풀을 제 속에 품어 비칠 때그것들의 투명한 속은 흙과 풀을 통과하며 통과시킨다먼지와 녹물과 날카로움과 독성을 잠재우며 또 다른 이슬의 반짝임 쪽으로 뻗어나간다.

이 시도 버려진 유리병(조각)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놓고 있다유리의 반짝임과 투명함 쪽으로 흙과 풀들은 뻗어나간다. ‘찬란한선명하고 쓸쓸한고요한 남빛 그림자로 상징되는 제비꽃은 버려진 유리 부스러기의 투명한 속을 비쳐 오고 비쳐 들어간다봄의 기운 혹은 생명의 싹 혹은 자연의 힘이다우리는 날마다 보고 있지 않은가유리 부스러기 속제비꽃 같은 남빛 그림자를시멘트 콘크리트 틈으로 돋아나는 노란 민들레꽃이나타일 콜타르 틈으로 삐쳐 나온 연한 세 잎 네 잎 클로버의 경이 그 자체를!

 

(참조문헌)

[네이버 지식백과이하석 [李河石]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 2. 25.)

일간『한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79(조선일보 연재, 2008)
시집『투명한 속』(문학과지성사, 1980)

편집인(편집부2000hansol@hanmail.net)

Recent Articles

spot_img

Related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