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과연 어떤 나라인가?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나라이면서도 정말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이상한 나라. 좋은 인상보다는 역사적으로 나쁜 사건들로 이어진 좋지 못한 선입견. 그러나 우리는 이럴때일수록 일본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지면이 허락되는대로 역사를 중심으로 일본을 알아보도록 해 본다.
일본의 지리개관
일본은 유라시아대륙 동쪽 끝의 해상에 위치하고 있다. 홋카이도(北海道)·혼슈(本州)·시코쿠(四国)·규슈(九州)의 4개의 거대한 섬과 약 6,900여 개의 크고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일본은 전체적으로 북동에서 남서로 걸쳐지는 긴 활 모양의 열도이다. 동쪽 끝으로는 미나미토리시마(南鳥島, 동경 153도 58분), 서쪽 끝으로는 요나구니지마(与那国島, 동경 122도 56분)1)가 위치해 있고, 남단으로는 오키노토리시마(沖ノ鳥島. 북위 20도 25분), 북단으로는 소야미사키(宗谷岬, 북위 45도 31분)가 위치하고 있다.
일본은 섬나라라고는 해도 외국과의 거리는 그다지 멀지 않아, 규슈와 한반도와의 거리는 약 200㎞, 나가사키현(長崎県)의 쓰시마(対馬,)에서 부산까지의 거리는 약 50㎞에 불과하다. 또한 홋카이도와 러시아의 사할린섬 사이에 위치한 소야(宗谷) 해협까지는 불과 40㎞ 정도이며, 서쪽 끝에 위치한 요나구니지마에서 대만(臺灣)까지의 거리도 100㎞ 정도에 불과하다.
일본 열도 북쪽으로는 러시아가 위치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한반도와 중국, 동쪽으로는 미국, 그리고 남쪽으로는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지역 중 독도와 북방사도(北方四島), 센카쿠제도(尖閣諸島)는 제각기 한국, 러시아, 중국(대만)과의 사이에 영유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1) 행정구역
일본 열도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의 4개의 큰 섬을 포함해 약 6,900여 개에 이르는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는 약 3,000㎞이고, 폭은 가장 넓은 곳이 300㎞에 달하며, 총 면적은 약 38만㎢이다. 전국은 1도(都), 1도(道), 2부(府), 43현(県) 등 모두 47개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것은 다시 편의상 홋카이도(北海道), 도호쿠(東北), 간토(関東), 주부(中部), 긴키(近畿), 주고쿠(中国), 시코쿠(四国), 규슈(九州)·오키나와(沖縄)의 9개 지방으로 구분된다
2) 산지
일본 열도는 태평양을 포함하는 환태평양산지대(環太平洋山地帶)의 일부로서 국토의 약 73%가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발 3,776m의 후지산(富士山)을 비롯해 3,000m를 넘는 산이 21개가 있다. 이 산들은 모두 혼슈(本州)의 중앙부에 몰려 있으며 일본알프스라 불린다. 호수는 면적이 50㎢ 이상인 것이 14개가 있는데, 그 중에서 면적 670㎢의 비와호(琵琶湖)가 가장 넓다. 하천은 길이 200㎞ 이상이 10개가 있으며, 가장 긴 하천은 나가노(長野)와 니가타(新潟)를 흐르는 시나노가와(信濃川 367㎞) 이다.
- 후지산(富士山) – 높이(m) 3,776
- 기타다케(北岳) – 높이(m) 3,192
- 오쿠호타카다케(奥穗高岳) – 높이(m) 3,190
- 아이노타케(間ノ岳) – 높이(m) 3,189
- 야리가타케(槍ヶ岳) – 높이(m) 3,180
지역별 기후의 특징
훗카이도 – 1년에 걸쳐 기온이 낮고 비가 적다. 다른 지역과 달라 장마(梅雨)나 태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겨울은 아주 춥다.
태평양 지역 – 여름은 비가 많고 무덥고 습하며, 겨울은 건조하고 맑은 날이 많다.
이 지역 남쪽에서는 태풍의 영향을 자주 받고 비도 많이 오며 겨울에는 온난하다.
내륙 지역 – 1년 중 비가 적고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다.
동해 지역 – 여름에는 비가 적지만, 겨울에는 눈이 많다.
세토나이카이(瀬戸内海) 지역 – 1년 중 맑은 날이 많고 비가 적다.
남서제도(南西諸島) 지역 – 1년 내내 기온이 높다.
식료 자급률(2005년, 식량수급표)
구분
품목
자급률(%)
1
쌀
95
2
보리
14
3
대두
5
4
야채
79
5
과실
41
6
육류
54
7
계란
94
8
우유·유제품
68
6) 인구
2008년 11월 1일 현재 일본의 인구는 1억 2,770만여 명이다. 19세기에 3,000~4,000만 명이던 것이 점차 증가해 1967년에는 1억 명에 이르렀고, 그 후로도 계속 증가해 왔다. 그러나 1973년을 정점으로 출생률이 낮아지기 시작하면서 인구 증가율은 1995년부터 2000년까지 5년 동안 불과 1.1% 정도에 머물렀고, 2006년에는 1억 2,774만 명을 정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출생률의 저하로 일본은 고령화 사회8)로 변모해 가고 있다.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해 2014년에는 3,293만 명에 달할 것이며, 결국 인구 4명당 1명은 고령자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생산연령(15~64세) 인구 2.4명이 1명의 고령자를 부양해야 하는 결과가 되어 큰 사회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일본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장래 인구 동향
구분 |
총인구(천명) |
인구 동태(인구 1000명당 ~명) |
연령별 인구(%) |
|||
출생률 |
사망률 |
0~14세 |
15~64세 |
65세 이상 |
||
2005* |
127,768 |
8.4 |
8.6 |
13.8 |
66.1 |
20.2 |
2010 |
127,176 |
7.3 |
9.4 |
13.0 |
63.9 |
23.1 |
2015 |
125,430 |
6.7 |
10.5 |
11.8 |
61.2 |
26.9 |
2020 |
122,735 |
6.3 |
11.6 |
10.8 |
60.0 |
29.2 |
2025 |
119,270 |
6.1 |
12.8 |
10.0 |
59.5 |
30.5 |
2030 |
115,224 |
6.0 |
13.9 |
9.7 |
58.5 |
31.8 |
2035 |
110,679 |
5.8 |
14.9 |
9.5 |
56.8 |
33.7 |
2045 |
100,433 |
5.2 |
16.3 |
9.0 |
52.8 |
38.2 |
2055 |
89,930 |
5.1 |
17.3 |
8.4 |
51.1 |
40.5 |
[네이버 지식백과]일본의 지리개관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2011. 9. 5., 정형)
편집인(편집부2000hansol@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