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후 꼭 알아야 할 필수 절차

내추럴문화평생교육원 김종호 원장 인터뷰 기록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순간, 남겨진 가족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것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막막함입니다. 김종호 원장님은 한 유튜브 채널 인터뷰에서 사망 직후부터 장례 절차, 상속 처리, 그리고 장례 문화의 올바른 이해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 과정을 차분히 설명해 주셨습니다.


1. 사망 후 반드시 거쳐야 할 절차

  • 사망 진단서 발급
    장례와 법적 절차의 출발점은 사망 진단서 혹은 시체 검안서 발급입니다. 이를 받아야 장례 절차 진행과 행정 처리가 가능해집니다.

  • 사망 신고
    사망 진단서를 받은 뒤, 한 달 이내에 주민센터 등 행정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 장례 절차 논의
    의료진에게 사망서를 받은 후 장례식장 또는 상조회사와 접촉하여 장례 일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논의해야 합니다.


2. 경제적 문제와 유품 정리

  • 장례 비용
    2022년 기준, 평균 장례 비용은 약 1,000만 원. 이 비용은 상속세 신고 시 공제받을 수 있어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안심 상속 원스톱 서비스
    금융 자산, 토지, 자동차 등 고인의 재산과 채무를 7일 이내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로, 상속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휴대폰 보관
    은행, 보험, 부동산 관련 정보가 담긴 고인의 휴대폰은 상속 절차가 끝날 때까지 약 1년간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장례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

  • ‘좋은 죽음’의 의미
    죽음을 두려움이나 미신으로 바라보기보다, 가족 곁에서 평온히 맞이하는 것이 진정한 ‘좋은 죽음’이라고 원장님은 강조합니다.

  • ‘호상(好喪)’의 바른 쓰임
    80세 이상 장수하신 분의 임종을 뜻하는 표현으로, 함부로 사용하지 않고 존중의 의미로만 써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장례 지도사의 역할
    장례식 전 과정에서 전문적인 상담, 고인의 입관, 종교 의식 지원까지 담당하는 직업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죽음은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삶의 일부입니다. 그러나 사망 이후 절차를 알고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남겨진 가족들의 혼란을 크게 덜 수 있습니다. 김종호 원장님의 조언처럼, 절차적 준비와 올바른 인식이 함께할 때 장례는 슬픔을 넘어 존경과 위로의 자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편집인 한솔노니 (편집부 2000hansol@hanmail.net)

가족이 죽는다면
핸드폰부터 창기세요

'호상' 이라는 말
함부로 쓰지 마세요

Recent Articles

spot_img

Related St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