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 정승과 김종서 장군
갓 정년 퇴임한 한 교수가 방송출연으로 방송국에 갔다. 두리번거리며
수위 아저씨에게 다가 갔더니.. 말도 꺼내기 전에 “어디서 왔어요” 라고 묻더라는 것, 소속이 없어진 그분은 당황한 나머지 “집에서 왔어요” 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다른 한 교수도방송국에서 같은 일을 당한 모양이다. 그러나 그분은 이렇게 대꾸했다.
“어디서 왔냐고” 묻지 말고, “어디로 갈 것인지” 물어 보시오.
나 ○○프로에서 출연해 달라고 해서 왔소.”
마침 그 프로그램 진행자인 제자가 멀리서 보고 달려왔다.
그 제자는 “역시 우리 교수님 말씀은 다 철학이에요.
우리의 인생에서도 어디서 왔냐보다
어디로 갈 것인가” 가 더 중요한 게 아니겠어요” 라고 말했다.
경기 파주시에 있는 ‘반구정’에는 황희 정승이 87세에 관직에서 물러나
돌아가시기 전까지 3년 동안 갈매기를 벗하며 여생을 보내셨다는 유적지다.
그곳 기념관에는 황 정승의 유명한 예화가
소개돼 있다. 그 중에서도 김종서 장군과 관련된 일화가 큰 울림을 준다.
김 장군은 일찍부터 용맹을 떨친 호랑이 같은 장수여서 겸손함이 좀 부족했는지
중신회의에서 삐딱하게 앉아 있었던 모양이다.
눈에 거슬리지만 누구 하나 말을 못하자 황 정승이 아랫사람을 불러 일렀다.
“장군께서 앉아 계신 모습이 삐딱한 걸 보니 아무래도 의자가 삐뚤어진 모양이다.
빨리 가서 반듯하게 고쳐 오너라.”
그러자 장군은 깜짝 놀라 자세를 고쳐 앉았다 그런 식으로 가끔 장군의 잘못을 따끔하게 지적하자,
한 중신이 유독 장군에게 더 엄격한 이유를 물었다고 한다.
“장군은 앞으로 나라의 큰일을 맡아서 하실
분이라 혹시라도 장군의 훌륭한 능력을 작은 결점 때문에 그르칠까 염려돼
그러오.”
황 정승은 이미 어디로 갈 것인지를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자신은 늙어 물러갈테고 다음 세대가 뒤를 이어갈 것이기에 미래를 내다본 것. 마치 지금의 자리가 영원하기라도 한 것처럼..
어디로 갈지 모르고 어디서 온 것만 내세우면 미래가 없다 ‘우리는 어디로 갈 것인가?’
편집부(편집국2000hansol@hanmail.net)